RAM Booting 메뉴
사용자 프로그램을 RAM으로 부팅합니다. 플래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. easyDSP의 모니터링 기능은 정지되며, 다음과 같은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.
'Boot'버튼을 누르면 RAM 부팅을 시작합니다. 먼저 사용자 프로그램이 RAM 부팅에 적합한지를 점검합니다. 본 점검을 통과했을 경우에만 RAM 부팅을 시작합니다. 만약 사용자 프로그램이 갱신되었다면 갱신된 프로그램으로 부팅할지를 자동 확인합니다.
'Enable fast booting' 또는 'Enable fast verifying'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좀 더 빠른 속도로 해당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.
'Enable fast verifying'의 경우 빠른 통신을 위한 리소스가 충분치 않은 경우 동작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이 경우 비활성화하여 주세요.
부팅 실패시 나타날 수 있는 메시지에 대해서 설명합니다.
![]()
본 메시지는 DSP가 RAM 부팅에 진입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며, 보통 하드웨어 결선이 올바르지 못할 경우 발생합니다.
'Verify'버튼은 부팅 후 부팅 데이타 전송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. 만약 'Verify'실패 시에는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오며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.
메모리 번지 0x240000에서, 램 부팅한 데이타는 0x28AD이지만 현재 읽혀진 값은 0x159D이다.
'Boot > Verify' 버튼은 'Boot' 버튼과 'Verify' 버튼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합니다.
'Stop' 버튼을 누르면 현재 동작이 중지됩니다.
Flash ROM 메뉴 (Gen2 MCU, F2837xD 및 F2837x)
사용자 프로그램을 플래시에 프로그래밍합니다.
easyDSP의 모니터링 기능은 일시 정지되며, 다음과 같은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.
동작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.
단계1 : 사용 MCU 및 클럭 구성에 따라 적절하게 타켓 소자를 선정합니다. 일부 MCU의 경우에만 해당 메뉴가 존재합니다.
단계2 : 버튼 또는 체크박스를 사용하여 Erase 및 Blank Check의 대상이 되는 sector를 선정합니다.
Select Used 버튼은 사용자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모든 섹터를 선택하며 Select Not Used 버튼은 그 반대입니다.
일부 MCU의 경우 Freeze 체크 박스를 선택하여 섹터 선택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습니다.
단계3 : 사용자가 Erase, Blank Check, Program, Verify, Unlock 버튼을 처음 누를 때에는, DSP는 플래쉬롬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(주의 : 사용자 프로그램 아님)으로 램 부팅합니다.
만약 컴파일러 출력 파일이 갱신되었다면 갱신된 출력 파일을 사용할 것인지 사용자에게 확인합니다.
한번 클릭으로 모든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(예 : Erase > Program > Reset > Exit)
단계4 : 이후 통신을 통해 원하는 동작을 수행합니다.
단계5 : 플래시 롬 대화상자를 나갈 때, 'Reset > Exit' 버튼을 클릭하여 MCU 리셋을 수행합니다. MCU는 플래시 롬 모드로 부팅하게 되며 이로서 사용자 프로그램이 수행됩니다.
주의) MCU 종류에 따라 상기 대화 상자의 형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.
주의) 2837xD, 2838xS(D)에서 데이타를 프로그램할 때, 자동 생성된 ECC(Error Correction Code)가 함께 사용됩니다.
주의) 아래 메뉴가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, FlashAPI wrapper의 통신 속도를 조절하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. 단, 특정 bps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여기서 bps 값은 변수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bps 값과 무관하기에, easyDSP 소스 파일의 헤더 파일이나, 프로젝트 세팅에서 선정하는 bps와 매칭하지 말아야 합니다.
![]()
Flash ROM 메뉴 (C2834x 계열)
2834x의 경우에는 내부 플래시 롬이 없으므로, 외부 플래쉬 롬을 지원합니다. 현재 지원되는 플래시 롬은, ATMEL사의 SPI 통신용 플래시 롬 AT25DF021(2M bit), AT25DF041(4M bit), AT26DF081(8M bit), AT25DF321(32M bit) 및 Numonyx사의 M25P20(2M bit), M25P40(4M bit), M25P80(8M bit), M25P16(16M bit), M25P32(32M bit)입니다. easyDSP는 사용자 프로그램을 SPI-A 모드로 부팅할 수 있는 형식에 맞춰 플래시 롬을 라이팅합니다.
두 가지 방식의 Erase를 지원하며, 전체 플래시 롬을 지우는 'Erase chip' 및 프로그램 라이팅에 사용된 영역만을 지우는 'Erase block'이 있습니다. 'Erase block'시에는 최소 4K bytes 영역으로 지우게 되므로, 사용자 프로그램이 실제로 라이팅된 영역보다 보통 더 큰 영역(최대 4K bytes)을 지우게 됩니다. ATMEL사의 제품은 Sector Protection 기능이 지원되는데, easyDSP에서는 모든 섹터를 protection하지 않는 Global Unprotect를 사용함에 주의하십시오.
또한 SPI-A 부팅모드에서는 부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LOSPCP값 및 SPIBRR값을 선정하게 되어 있는데, easyDSP는 이를 LOSPCP=2, SPIBRR= 0 으로 고정하여 사용합니다.![]()
Flash ROM 메뉴 (나머지 계열)
Gen3 싱글코어 및 멀티코어 (예 : F28Px) 제품을 지원하기 위한 메뉴입니다.
사용자 프로그램을 플래시에 프로그래밍합니다.
easyDSP의 모니터링 기능은 일시 정지되며, 다음과 같은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.![]()
사용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.
단계 1 : 필요시 CSM password 버튼을 눌러 CSM 키값을 입력하고, Unlock CSM 버튼을 눌러 CSM을 해제합니다.
단계 2 : Erase 대상이 되는 플래시 섹터를 선정합니다 (All, None, Used, Not Used 버튼 활용).
Used 버튼은 사용자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모든 섹터를 선택합니다. Not Used 버튼은 그 반대입니다.
각 섹터의 체크 박스를 일일이 클릭하여 섹터별로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.
Freeze 체크 박스를 선택하면 섹터 선택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습니다.
단계 3 : Erase, Blank, Program+Verify, Verify 버튼을 처음 사용시 MCU 리셋이 걸리고 MCU는 부트로더로 진입하게 합니다.
단계 4 : 각종 버튼을 사용하여 플래시 동작을 수행합니다.
데이타를 프로그램할 때, 자동 생성된 ECC(Error Correction Code)가 함께 사용됩니다.
단계 5 : 'Reset>Exit' 버튼으로 대화상자를 나가면서 사용자 프로그램을 수행합니다. 리셋 없이 대화상자를 나가면 부트로더 프로그램이 지속 수행됨에 유의하세요.